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날 차례상 차리는 정확한 방법

by 섭이이 2025. 1. 14.
반응형

설날은 한국에서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조상님께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하는 차례가 핵심 행사입니다. 차례상은 단순한 음식 진열을 넘어 예절과 전통이 담긴 상차림입니다. 설날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을 알아보고, 조상님께 올리는 정성을 통해 가족과 함께 따뜻한 명절을 보내세요.

 

차례상의 기본 구조

설날 차례상은 크게 5열로 구성되며, 이는 각 열에 따라 올리는 음식의 종류와 의미가 있습니다.

  1. 첫 번째 줄 (북쪽): 조상님께 올리는 신위와 함께 술잔 및 술상이 놓입니다.
  2. 두 번째 줄: 구이류(생선, 육류), 탕(국 종류)을 배치합니다.
  3. 세 번째 줄: 볶음, 나물, 전 등 다양한 반찬류가 놓입니다.
  4. 네 번째 줄: 포(육포, 어포)와 같은 말린 음식이 자리합니다.
  5. 다섯 번째 줄 (남쪽): 밥, 국, 김치, 과일, 떡 등 주식과 디저트류를 놓습니다.

설날 차례상
설날 차례상 - 출처 뉴스이미지


차례상 음식 배치 방법

차례상은 "좌포우혜, 어동육서, 두동미서"라는 전통 원칙에 따라 음식이 배치됩니다.

  • 좌포우혜: 포(건어물)는 좌측, 혜(육포)는 우측에 둡니다.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배치합니다.
  • 두동미서: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놓습니다.

이 외에도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조율이시(대추, 밤, 배, 감 순서) 등 세부적인 원칙이 있습니다.

 

차례상에 올릴 음식 준비하는 방법

다음은 차례상에 주로 올리는 음식 종류입니다.

  • 밥과 국: 흰 쌀밥과 맑은 탕국(소고기, 무, 조개탕 등).
  • 구이류: 조기, 도미, 소고기구이 등.
  • 나물류: 고사리, 시금치, 도라지 등 색과 식감을 다양하게 준비.
  • 전: 동그랑땡, 호박전, 동태전 등 전 종류.
  • 과일: 대추, 밤, 배, 감을 기본으로 하며, 모양이 깨끗한 과일을 선택합니다.
  • 떡: 흰떡국 떡과 송편.

설날 차례상
설날 차례상 - 출처 뉴스 이미지

 



설날 차례상의 올바른 차림 순서

음식을 차례상에 올릴 때는 다음 순서를 따르면 됩니다.

  1. 신위 자리 배치: 상단 중앙에 위치.
  2. 밥과 국 위치: 하단 중앙에 배치.
  3. 탕류: 중앙에 놓으며, 고기탕, 생선탕, 채소탕 순으로 배열.
  4. 반찬류와 과일: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며, 외관의 균형을 고려.

설날 차례상
설날 차례상 - 출처 뉴스 이미지

차례상 차림 시 주의사항

  • 고명: 음식 위에 올리는 고명은 색깔과 모양을 맞춰 정갈하게 준비합니다.
  • 향: 차례상 음식은 조상님께 올리는 것이므로 강한 향신료는 피합니다.
  • 짝수 금지: 음식 수량은 홀수로 준비합니다. 홀수는 양(陽)을 상징하며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차례를 마친 후 음식은 가족이 함께 나누며 조상님의 복과 건강을 기원합니다. 차례상 음식을 다 함께 나누는 것은 가정의 화합과 조상님과의 연결을 의미합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차례상 차리기 대신 요즘에는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이 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기는 표준안으로 정해져 있어 간소화하는 경우 이 표준안을 보면 더욱 쉽게 상차림이 가능합니다.

 

간소화 상차림 표준안 확인하기

 

 

설날 차례상은 조상님에 대한 예를 다하고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전통의 핵심입니다. 차례상의 배치 원칙과 음식 준비 방법을 숙지하고 정성을 다해 상을 차리면, 조상님께 더욱 큰 존경을 표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참고해 가족과 함께 뜻깊은 설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